본문 바로가기

Non-Proliferation4

북한의 우라늄 농축 확장 계속해서 북한의 핵 실험 준비활동 정황이 포착됨에 따라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하여 분류해보았다. 1. 우라늄 농축 배경 먼저 통일연구원에서 작성한 '북한의 고농축우라늄 프로그램 추진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제네바 합의가 이행중이던 1990년대 후반부터 북한이 핵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는 의혹들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제네바합의 : 1994년 10월 21일 북한의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위스 제네바에서 미국과 북한이 체결한 비공개 양해록, 핵사찰 허용과 경수로 제공을 약속한 기본 합의문이다)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김사내라는 북한여성의 의문의 죽음이 북한과 파키스탄 간에 군사정보 거래 일명 '파키스탄 커넥션'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004년 통일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김사내라는 인물은 당시 파키스탄 주재 북.. 2022. 5. 15.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 최근 북한의 풍계리 핵실험장의 위성사진 변화 관측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의 발사에 이어 북한의 7차 핵실험이 도래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북한은 그동안 6번의 핵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날짜와 규모는 다음과 같다.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지진규모 3.9 4.5 4.9 4.8 5 5.7~6.3 종류 원자탄(Plutonium) 원자탄(Plutonium) 원자탄(Plutonium, Uranium) 원자탄(Plutonium) 원자탄(Plutonium) 수소탄 폭발력 1kt 미만 3~4kt 6~7kt 6kt 10kt 100~300kt 날짜 2006년10월9일 2009년5월25일 2013년2월12일 2016년1월6일 2016년9월9일 2017년9월3일 원자탄과 수소탄의 차이점은 1. 원자탄에 비해 수소.. 2022. 4. 9.
북한 핵실험 재개 가능성 북한 핵실험 장소인 북한 풍계리 인근에서 최근 위성사진으로 새로운 움직임이 포착되었다. (참고로 풍계리 핵실험장은 지난 2018년 북한이 비핵화를 약속하며 대한민국 기자들을 불러서 공식적으로 폭파시킴) 핵실험장은 지하에 위치하며 총 네 곳의 진입 갱도가 존재한다. 그 중 남쪽 갱도 인근에서 건축 자재의 이동과 부서진 건물이 수리됨을 위성사진을 통해 확인했다. 북한은 지금껏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후 핵실험을 하는 패턴을 보여왔다. 따라서 며칠전 ICBM 시험 발사도 곧있을 핵실험을 위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제기된다. 구글 지도를 통해 풍계리의 위치를 찾아봄 자료출처 38north https://www.38north.org/2022/03/punggye-ri-nuclear-test-site-p.. 2022. 4. 3.
북한 핵실험 탐지를 위한 활동 방안 정부가 제시한 북핵활동 탐지능력 강화를 위한 과제 및 대책 네 분류 1. 지진탐지 분야 백령도, 김포, 철원, 간성, 양구, 울릉도 총 6곳에서 음파관측소를 운영. 기상청-한국지질자원연구원간 지진자료 공유체계 구축 2. 방사성 핵종탐지-분석 핵실험시 Xe, Kr 방출에 대한 탐지장비와 분석시스템 강화 3. 환경방사능 감시 방사성 물질 탐지를 위해 전방지역, 해안 최전방 및 수도권에 무인 방사선감시기 운영 4. 기술 정보 수집분석 체계 구축 북핵활동에 대한 기술 정보 수집분석 체계 구축. 환경시료 분석, 정보 분석, 종합관리 DB시스템 구축. 고해상도 위성영상 분석 시스템 구축. 정리해보면, 북한의 핵실험 활동에 대한 감시 체계는 지진탐지, 방사성 핵종탐지, 위성 정보 세 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겠다. 시.. 2022. 4. 3.